1. 유독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겪고 있는 수면장애
우리나라 사람들은 잠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OECD 국가 중 평균 수면시간 최하위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직장인들의 경우 하루 평균 4~5시간밖에 못 자는 비율이 무려 70%나 된다고 합니다. 이렇다 보니 만성피로 증후군 환자도 매년 증가되는 추세를 보입니다. 그렇다면 왜 유독 한국사람만 유난히 잠을 적게 자는 건지,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수면장애 원인
전문가들은 과도한 업무량과 잦은 야근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을 주된 원인으로 꼽습니다. 물론 저도 동의하는 내용이고 저 마찬가지도 같은 이유에서 수면부족으로 인한 피로를 느끼고 있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노동 시간이 매우 길다고 생각합니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뿐만 아니라 퇴근 후의 회식 문화라든지 상사의 눈치를 보느라 퇴근을 못하는 문화 역시 개선해야 한다고 봅니다. 퇴근 후 집에 와서도 편히 쉬지 못하고 계속 일을 하는 상황이니 제대로 수면을 취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요인은 과도한 카페인 섭취가 문제입니다. 커피 소비량 세계 2위답게 성인 1명당 연간 400잔 이상 마신다고 합니다. 이렇게 카페인을 과다 복용하면 숙면을 방해한다고 하니 주의해야겠습니다.
3. 수면장애 극복방법
위와 같이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들로 인해 만성피로 증후군을 겪고 있는 여러분들을 위해 한 가지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회사 야근과 같이 불가피한 상황을 제외하고 집에 와서 숙면을 취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일부 사람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잠을 자기 전 핸드폰을 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인들과의 소통, 또는 SNS를 보면서 많은 시간을 보낸 후 취침을 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적절한 수면효과를 실천해야 합니다. 수면효과라는 것은 쉽게 말해 잠자기 전 핸드폰을 보는 습관을 고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스마트폰 보급률 1 위인만큼 자기 전 누워서 핸드폰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행동은 뇌파를 자극해서 숙면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분께 잠들기 전 핸드폰 대신 책을 읽는 습관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책을 보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에 책을 읽는 습관을 들여 실천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책을 읽으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어휘력 향상과 문장 구사력이 상승된다.
2. 창의력과 상상력이 증가한다.
3.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4. 집중력이 향상된다.
5. 사고력이 발달되고 이해력이 증대된다.
6. 논리력이 상승되고 학습능력이 향상된다.
7. 치매 예방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책을 읽음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책을 읽느냐에 따라서 수면효과의 질은 달라집니다. 만약 자극적인 소재의 책을 읽는다면 뇌파를 자극하여 숙면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자극적인 소재의 책보다는 읽기 편하고 긍정적인 소재와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주제의 책을 읽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책을 읽으면서 수면효과의 질을 달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소설보다는 인문학 서적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소설은 내용이 한정되어 있어 작가의 의도파악이 어려울뿐더러 재미만을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독서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인문학서적은 한 권 안에 많은 지식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면에서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도 풍부한 상식을 뽐낼 수 있게 해 줍니다.
사실 스마트폰 대신에 책을 읽는 것이 처음엔 쉽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하루 10분씩이라도 꾸준히 읽다 보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책을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시간관리 어플을 이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책을 읽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끊이지 않는 학교폭력, 근절방안 (0) | 2023.01.29 |
---|---|
환경친화적인 전기차 (0) | 2023.01.28 |
겨울철 동파예방, 보온재와 열선! (0) | 2023.01.26 |
지구종말 시계, 인류의 미래 (0) | 2023.01.25 |
끊이지 않는 총기사고 (0) | 2023.01.24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