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팁

끊이지 않는 총기사고

by J&H 2023. 1. 24.
반응형

1. 한 순간에 목숨을 앗아가는 총기사고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총기사고 뉴스를 접해보신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들은 총기사고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십니까? 이러한 뉴스를 보지 않았을 때에는 단순히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총기사건들이 떠오르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미국드라마나 영화에서는 특히 총격전 장면이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현실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날 거란 큰 걱정은 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큰 사건 사고 없이 평화로운 나날들을 보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여전히 크고 작은 총기사고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주제는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총기사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에선 총기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인에게 있어서 '총'이라는 물건은 익숙하지 않은 물건입니다. 한국전쟁 이후 70년간 분단국가로서 전쟁 위험 속에서 살아온 탓에 국민 대부분이 개인화기로 무장해야 한다는 인식 자체가 없습니다. 또한 경찰과 군대 등 공권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치안이 안전하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전 일어난 미국 캘리포니아 총기사건처럼 외국에서는 총기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여행객들이 다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안심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안심을 하더라도 외국에서는 항상 조심해야겠습니다.

2. 외국의 총기사고 현황

외국에서의 총기사고 현황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 매년 2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총기사고로 사망한다고 합니다. 이는 총기사고로 하루에 약 60명 꼴로 목숨을 잃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2015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1위 국가가 대한민국(28.7명)이고 2위가 미국(23.0명)이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 및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 이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비율이 높다는 뜻이겠죠. 게다가 2016년 6월 14일 플로리다주 올랜도 나이트클럽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 당시 49명이 사망했고 53명이 부상당하는 대형 참사가 일어났습니다. 범인은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오마르 마틴이었습니다. 범행 동기가 동성애 혐오라고 밝혀져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외에도 2017년 4월 12일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 인근 교회에서 26명의 목숨을 앗아간 총기 난사 사건 역시 용의자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IS 추종자여서 더욱 논란이 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미국 총기난사 사고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의 몬터레이 파크에서 일어난 사고로 이곳에는 대다수가 중국계 등 아시아계열의 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안타까운 사고로 한국인 피해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나 아시아계 남성인 휴 캔 트랜(Huu can Tran, 72세)이 몬터레이 파크의 한 댄스 교습소에서 총기난사를 하였고 범인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 사고는 2023년 1월 21일에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이틑날인 23일에도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60대 노동자인 자오 춘리(67세)가 총기를 난사함으로써 7명이 목숨을 잃고 1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최근 발생한 두 사건 모두 아시아계 미국인이 범인으로 밝혀지면서 자칫 아시아 사람들을 혐오하면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됩니다.

3. 해외여행 시 주의사항

따라서 외국에 거주하고 계시거나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분들께는 반드시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저는 여행 갈 때마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호신용품을 챙겨가는 편입니다. 스프레이형 가스분사기나 전기충격기같이 강력한 무기보다는 삼단봉 같이 휴대성이 좋은 도구를 선호합니다. 아무래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들어서 안심도 되고 혹시 모를 사건사고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여러분도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서 간단한 호신용품이라도 준비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