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팁37 인원 감축에 따른 군대 변화 1. 우리나라 군대는? 우리나라 남자들은 반드시 20대 전후로 반드시 다녀와하는 곳이 군대입니다. 저 또한 군대를 갔다 온 남자로서 2년이라는 시간 동안 나라를 위해 열심히 봉사를 했습니다. 지난 글에서 소개했다시피 우리나라에서는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지원자 중 추첨을 통해 선발되는 방식인 '모병제'와는 달리 강제성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 군은 어떤 방향을 가지고 가게 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현재의 대한민국 국군 우리나라가 징병제를 채택하게 된 것에는 국가안보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남북간의 군사적 대치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북한과의 전쟁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국방정책이 필수불가결.. 2023. 1. 22. 출산율 저하의 원인과 대책 1. 대한민국의 출산율 며칠 전 뉴스를 보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또다시 곤두박질쳤다는 소식이었는데 그 수치가 무려 0.84명이라고 합니다. 작년 1분기에 비해 0.08명 감소한 수치인데 이러다가 우리나라 인구율이 정말 큰일 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1970년대에는 4.5명이었으며 1975년에는 3.4명, 1980년대에는 2명대로 점차 줄었으며 2000년대에는 1명대로 줄면서 지금은 1명이 안 되는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2분기 이후 8개 분기 연속 하락세라고 하는데 이대로 가다간 인구절벽 현상도 머지않아 현실화될 것 같습니다.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치보다는 높지만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니 심각한 상황임엔 틀림없습니다. 더군다나 지난.. 2023. 1. 22. 대한민국 징병제와 모병제 논란 1. 징병제 과거와 현재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가야 하는 바로 군대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군 복무기간 단축과 같은 이슈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병역기피 문제 또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의 현재 징병제도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징병제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징병제(徵兵制)란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강제적으로 병역의무를 부과하는 제도이다. 이는 의무복무제라고도 불립니다. 즉, 일정한 나이가 되면 모든 남성에게 국방의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로,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국군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징병제 역사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징병제는 1949년 8월 6일 제정된 ‘육군본부직제 안’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50년 한.. 2023. 1. 20. 남녀차별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남녀차별이란? 남녀평등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성차별이 만연합니다. 특히나 최근 들어 여성들이 많은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성 중심인 문화 속에서 차별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남녀차별이란 사회적 성(性)인 젠더(gender)에 의해 행해지는 차별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물학적 성(sex)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즉,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별 자체보다는 개인이 속한 사회에서의 위치나 권력관계 등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불평등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차별이란 성별을 이유로 행해지는 모든 구별, 배제, 제한 등을 의미합니다. 즉, 특정 집단에게 불리한 대우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 2023. 1. 20.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